DNS란? 웹사이트 접속 속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기술

인터넷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우리는 흔히 www.example.com과 같은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하지만 이 도메인을 실제 웹사이트 서버로 연결해주는 중요한 시스템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 핵심 기술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입니다.

이 글에서는 DNS의 기본 개념부터 작동 방식, 접속 속도에 미치는 영향까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DNS란 무엇인가요?

DNS(Domain Name System)는 우리가 입력한 도메인 주소(예: google.com)를 실제 서버의 IP 주소(예: 142.250.206.206)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인터넷은 IP 주소로 통신하지만, 사람이 기억하기 어려운 숫자 대신 문자 기반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도메인이고, DNS는 이 둘을 연결하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역할을 합니다.

📌 예시:

사용자 입력: www.naver.com
DNS 변환: 223.130.195.200
브라우저는 이 IP 주소로 실제 서버에 접속합니다.

✅ DNS가 작동하는 방식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작동합니다.

  1. 브라우저가 DNS 요청
  2. 로컬 캐시 확인 (PC나 공유기에 저장된 기록 확인)
  3. ISP의 DNS 서버 문의
  4. 최상위 도메인 서버 → 네임서버 → 최종 IP 반환

이 과정을 거쳐 도메인 → IP 주소로 변환되며, 그 결과 웹사이트 서버와 연결됩니다.

✅ DNS가 웹사이트 속도에 영향을 주는 이유

DNS가 빠르게 작동할수록 웹사이트 접속 속도도 빨라집니다. 왜냐하면 DNS 변환 시간이 길면 초기 접속 속도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 예시 상황

  • 느린 DNS 사용 시: 사이트 클릭 후 2~3초 지연
  • 빠른 DNS 사용 시: 거의 즉시 접속

이는 특히 외국 사이트를 접속하거나, DNS 오류가 발생했을 때 더욱 체감됩니다.

✅ 대표적인 공개 DNS 주소

DNS 서비스 기본 DNS 보조 DNS
Google Public DNS 8.8.8.8 8.8.4.4
Cloudflare DNS 1.1.1.1 1.0.0.1
KISA 인터넷진흥원 DNS 168.126.63.1 168.126.63.2

이 DNS들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는 보안 및 속도 최적화 기능도 제공합니다.

✅ DNS를 변경하면 어떤 점이 좋아질까?

  • 웹사이트 접속 속도 향상
  • 인터넷 장애 시 우회 가능
  • 광고 및 악성 사이트 차단 기능 사용

※ 주의:

DNS 변경은 간단하지만, 설정 오류 시 인터넷 연결이 안 될 수 있으므로
변경 전 현재 DNS 값을 메모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DNS 설정 방법 (Windows 기준)

  1.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2. 어댑터 설정 변경 → 사용 중인 네트워크 우클릭 → 속성
  3.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선택 → 속성 클릭
  4.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선택 후 입력
예시:
기본 DNS: 1.1.1.1
보조 DNS: 1.0.0.1

✅ 마무리

DNS는 인터넷 사용자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기본 지식 중 하나입니다.
단순한 주소 변환 기능을 넘어서, 접속 속도, 보안,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느린 인터넷 속도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면, DNS 변경만으로도 체감 속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MAC 주소와 IP 주소의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모바일 데이터 절약하는 7가지 방법 (iOS & Android)

아이피타임 공유기 설정법: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 가이드

이중 인증(2FA)이란? 계정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