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 IP와 사설 IP 차이점 완벽 정리
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공인 IP’, ‘사설 IP’라는 용어를 한 번쯤 들어봤을 것입니다. 이 둘은 모두 IP 주소의 종류이지만, 용도와 범위, 접근 가능성 면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공인 IP와 사설 IP의 개념과 차이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공인 IP란?
공인 IP는 전 세계 인터넷상에서 고유하게 인식되는 IP 주소입니다. 인터넷 제공업체(ISP)로부터 할당되며, 외부 인터넷망과 직접 통신할 수 있는 주소입니다.
📌 주요 특징:
- 유일한 주소로 외부에서 직접 접근 가능
- 웹 서버, CCTV 원격 접속 등 실시간 통신에 적합
- 외부 공격에 노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보안 필요
예시:
123.45.67.89
1.209.213.101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공유기 역시 외부에서는 하나의 공인 IP를 가지고 있습니다.
✅ 사설 IP란?
사설 IP는 특정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IP 주소로, 외부 인터넷망과 직접 통신하지 않습니다. 대신 공유기나 라우터가 공인 IP를 통해 외부와 연결을 대신 수행합니다.
📌 주요 특징:
- 동일한 사설 IP 대역을 여러 네트워크에서 중복 사용 가능
- 가정, 사무실 등에서 각 장치에 자동 할당됨
- 외부 접속 불가 → 상대적으로 안전
대표 사설 IP 대역:
- 192.168.0.0 ~ 192.168.255.255
- 10.0.0.0 ~ 10.255.255.255
- 172.16.0.0 ~ 172.31.255.255
✅ 공인 IP vs 사설 IP 비교 표
| 구분 | 공인 IP | 사설 IP |
|---|---|---|
| 사용 위치 | 인터넷 외부망 | 내부 네트워크(가정, 사무실 등) |
| 접근 범위 | 누구나 접근 가능 | 외부에서 직접 접근 불가 |
| 보안 위험 | 비교적 높음 | 낮음 (외부 노출 안 됨) |
| IP 대역 | 고유 주소 | 사설 IP 전용 대역 |
| 예시 | 210.92.32.14 | 192.168.0.101 |
✅ 왜 공인 IP는 하나, 사설 IP는 여러 개인가요?
집에서 스마트폰, 노트북, TV 등 여러 기기를 Wi-Fi에 연결하더라도 외부에는 하나의 공인 IP만 노출됩니다. 이는 공유기가 각 기기에 사설 IP를 부여하고, 외부와 통신할 때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즉, 내부에서는 여러 사설 IP가 사용되지만 외부에서는 하나의 공인 IP로 대표되는 구조입니다.
✅ 사설 IP는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할까?
기본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포트 포워딩, DMZ 설정 등을 통해 내부 장치를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는 있습니다. 이는 CCTV 원격 접속, NAS 서버 운용 등에 사용됩니다.
단, 보안 설정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해킹 위험이 있으므로 일반 사용자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 마무리
공인 IP와 사설 IP의 개념은 인터넷을 조금 더 깊이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기기마다 다른 IP가 부여되지만, 외부 인터넷에는 하나의 공인 IP만 노출되는 구조는 가정용 인터넷 환경에서 매우 일반적입니다.
이해해두면 네트워크 문제 해결이나 보안 설정 시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