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주소란? IP와 다른 컴퓨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설정을 하다 보면 IP 주소와 함께 자주 등장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MAC 주소(MAC Address)입니다.

IP 주소는 들어본 적 있어도, MAC 주소는 생소하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두 가지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각기 다른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MAC 주소의 개념, IP 주소와의 차이, 확인 방법까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 MAC 주소란?

MAC 주소네트워크 장치(Network Interface Card, NIC)에 부여된 고유 식별 번호입니다.
'Media Access Control Address'의 줄임말로, 전 세계에서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주소입니다.

MAC 주소는 보통 00-1A-2B-3C-4D-5E와 같은 16진수 형식으로 표기됩니다.

📌 주요 특징

  • 하드웨어(물리적 장치)에 부여된 고유 식별값
  • 제조 시 자동으로 설정되어 변경 불가 (일반적으로)
  • LAN 카드, 무선 네트워크 카드 등 모든 네트워크 장비에 존재

✅ MAC 주소와 IP 주소의 차이

구분 MAC 주소 IP 주소
역할 기기의 고유 식별자 (물리 주소) 네트워크 상의 위치 식별 (논리 주소)
부여 방식 제조 시 장치에 내장 네트워크 접속 시 동적으로 할당 (또는 수동 설정)
변경 가능 여부 거의 불가능 (특수 도구 사용 시 가능) 변경 가능 (공유기/기기 설정)
사용 목적 로컬 네트워크에서 기기 식별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 경로 지정

쉽게 말해, MAC 주소는 주민등록번호, IP 주소는 현재 주소처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 MAC 주소 확인 방법

▶ Windows에서 확인하기

  1. Win + R 키 입력 → cmd 입력
  2. 명령어 창에서 ipconfig /all 입력
  3.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 항목 확인
예시:
Physical Address . . . . . . . . : 00-1A-2B-3C-4D-5E

▶ 스마트폰에서 확인하기

안드로이드: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상태 > Wi-Fi MAC 주소
아이폰: 설정 > 일반 > 정보 > Wi-Fi 주소

✅ MAC 주소는 왜 중요할까?

  • 네트워크 보안 설정 (MAC 주소 기반 필터링으로 특정 기기만 허용)
  • IP 충돌 문제 해결 (기기 식별 시 필요)
  • 로컬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관리자 입장에서 기기 통제 가능)

특히 학교나 회사, 공공기관 등에서는 MAC 주소를 기준으로 접속 허용 또는 차단을 설정하기도 합니다.

✅ MAC 주소 변경이 가능한가요?

일반적으로 MAC 주소는 하드웨어에 고정되어 있어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일부 프로그램이나 네트워크 설정 도구를 이용하면 일시적으로 변경할 수는 있습니다.

단, MAC 주소 변경은 네트워크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 마무리

MAC 주소는 네트워크 기기마다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 번호로, 로컬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P 주소와는 목적과 작동 방식이 다르지만, 함께 이해하면 네트워크 전반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인터넷 속도 단위 Mbps와 MBps의 차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모바일 데이터 절약하는 7가지 방법 (iOS & Android)

아이피타임 공유기 설정법: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 가이드

이중 인증(2FA)이란? 계정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