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주소란? IP와의 차이점과 네트워크에서의 역할

와이파이 설정이나 네트워크 장비 설정을 하다 보면 MAC 주소라는 용어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많은 분들이 IP 주소와 혼동하곤 하지만, MAC 주소는 전혀 다른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MAC 주소의 개념, IP 주소와의 차이점, MAC 주소가 네트워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MAC 주소란?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네트워크 장비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입니다.
모든 스마트폰, 노트북, 공유기, 프린터 등의 네트워크 장비에는 MAC 주소가 하나씩 존재합니다.

📌 형식 예시:

00:1A:2B:3C:4D:5E (총 12자리, 16진수)

  • 앞 6자리: 제조사 정보
  • 뒤 6자리: 장비 고유 번호

MAC 주소는 보통 하드웨어에 내장된 고정값이지만, 일부 장치에서는 수동 변경(스푸핑)도 가능합니다.

✅ IP 주소와의 차이점

구분 MAC 주소 IP 주소
역할 장비 식별 위치 식별
변경 가능 여부 기본적으로 고정 동적으로 자주 변경
사용 범위 로컬 네트워크 내 전 세계 인터넷
예시 00:0A:95:9D:68:16 192.168.0.1

✅ MAC 주소는 어디에 사용될까?

1. 네트워크 연결 식별

  • 공유기나 스위치가 장치를 구분할 때 사용
  • 특정 기기에만 인터넷 접근 허용 가능 (MAC 주소 기반 필터링)

2. 보안 설정 및 인증

  • 학교, 기업에서는 등록된 MAC 주소만 네트워크 접속 허용
  • 무선 보안 강화에 활용

3. 사용량 추적 및 모니터링

  • 네트워크 관리자가 기기별 트래픽 확인 가능
  • 불법 접속 탐지 시 MAC 주소 추적

✅ MAC 주소 확인 방법

▶ Windows

  1. 명령 프롬프트 실행 (CMD)
  2. ipconfig /all 입력
  3. Physical Address 항목이 MAC 주소

▶ macOS

  1. 시스템 설정 → 네트워크 → 고급
  2. Wi-Fi 또는 Ethernet 탭에서 확인

▶ 안드로이드

  1. 설정 → 휴대폰 정보 → 상태 → Wi-Fi MAC 주소

▶ 아이폰(iOS)

  1. 설정 → 일반 → 정보 → Wi-Fi 주소

✅ MAC 주소 변경(스푸핑)은 합법일까?

일반적으로 MAC 주소는 고정이지만, 일부 시스템에서는 변경이 가능합니다.
예: 공공 Wi-Fi 사용 제한을 우회하거나, 특정 인증을 피하기 위해 변경하는 경우가 있음

하지만 타인의 MAC 주소로 위장하거나 인증 시스템을 우회할 경우,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실험 용도 외에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 마무리

MAC 주소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네트워크 기기에 존재하며,
IP 주소와는 다른 층의 식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네트워크 보안, 연결 관리, 트래픽 분석 등 다양한 용도에 활용되며,
기본 개념을 알고 있으면 와이파이 문제 해결이나 네트워크 설정

이제는 MAC 주소가 단순한 숫자 조합이 아닌, 디지털 장비의 고유한 이름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모바일 데이터 절약하는 7가지 방법 (iOS & Android)

아이피타임 공유기 설정법: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 가이드

이중 인증(2FA)이란? 계정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