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5의 게시물 표시

VPN이란? 원리, 장점, 무료 vs 유료 서비스 비교

온라인에서 개인정보 보호가 점점 더 중요해지면서, VPN 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VPN이 정확히 뭐야?”, “왜 써야 하지?”, “무료 VPN은 안전할까?” 같은 질문이 여전히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VPN의 개념 , 작동 원리 , 장단점 , 그리고 무료 vs 유료 서비스 비교 까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립니다. ✅ VPN이란? VPN (Virtual Private Network) 은 ‘가상 사설망’이라는 뜻으로, 공용 인터넷을 통해 개인 전용의 암호화된 통신 경로를 만드는 기술 입니다. 쉽게 말해, 인터넷을 사용할 때 자신의 실제 IP와 위치를 숨기고, 데이터를 암호화 하여 더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주요 기능: 내 IP 주소 숨기기 데이터 암호화 위치 우회 (해외 콘텐츠 접근) 공공 Wi-Fi 사용 시 보안 강화 ✅ VPN의 작동 원리 사용자가 VPN 앱이나 설정을 통해 연결 요청 기기에서 VPN 서버로 안전한 터널 을 생성 모든 인터넷 트래픽이 이 암호화된 터널 을 통해 전달됨 VPN 서버는 대신해서 외부 사이트에 접속 이 과정을 통해 웹사이트나 인터넷 제공업체(ISP)는 실제 사용자의 IP를 알 수 없게 됩니다. ✅ VPN 사용의 장점 1. 개인정보 보호 VPN은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해 해커나 감시자로부터 정보를 보호 합니다. 2. 공공 Wi-Fi에서도 안전 카페, 공항 등 공용 와이파이 사용 시에도 데이터 탈취를 방지 할 수 있습니다. 3. 해외 콘텐츠 접속 넷플릭스, 유튜브 등 지역 제한 콘텐츠에 접속 가능 (예: 미국 서버 이용) 4. 인터넷 검열 우회 특정 국가 또는 기관의 인터넷 차단을 VPN을 통해 우회 할 수 있습니다. ✅ 단점도 있을까? 1. 속도 저하 가능성 암호화 및 서버를 우회하기 때문에 일반 인터넷보다 느릴 수 있음 2. 무료 VPN의 보안 문제 일...

DNS란 무엇인가? 쉽게 이해하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

인터넷을 사용할 때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자연스럽게 해당 사이트로 접속됩니다. 예를 들어 www.google.com 을 입력하면 구글 홈페이지로 연결되죠. 그런데 컴퓨터는 문자 주소가 아닌 숫자로 된 IP 주소 를 통해 통신합니다. 이 둘을 연결해주는 핵심 기술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 입니다. ✅ DNS란 무엇인가? DNS 는 우리가 입력하는 도메인 주소를 실제 서버의 IP 주소로 변환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www.naver.com 을 입력하면 DNS가 이를 223.130.195.200 같은 IP로 변환해줍니다. 이 과정을 도메인 네임 해석(Name Resolution) 이라고 부르며, 인터넷 접속의 기본 단계입니다. 📌 핵심 기능 도메인 → IP 주소 변환 기억하기 쉬운 주소 제공 인터넷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라우팅 ✅ 왜 DNS가 필요한가? IP 주소는 숫자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람이 기억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도메인은 쉽게 기억할 수 있죠. 예: IP 주소: 172.217.161.238 도메인: www.google.com DNS는 이처럼 사람이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도메인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바꿔주는 전화번호부 같은 역할 을 합니다. ✅ DNS 작동 원리 사용자가 웹사이트 주소 입력 (예: www.example.com ) 브라우저가 로컬 DNS 캐시 를 먼저 확인 없다면 DNS 서버 에 요청 DNS 서버가 도메인에 해당하는 IP 주소 응답 해당 IP로 연결하여 웹사이트 접속 🔁 이 과정은 1초 이내에 이뤄질 정도로 빠르게 작동합니다. ✅ DNS 서버란? DNS 서버 는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루트 DNS 서버 : 최상위 서버, 전 세계에 13개 존재 TLD 서버 : .com, .net, .kr 등 도메...

MAC 주소란? IP와의 차이점과 네트워크에서의 역할

와이파이 설정이나 네트워크 장비 설정을 하다 보면 MAC 주소 라는 용어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많은 분들이 IP 주소와 혼동 하곤 하지만, MAC 주소는 전혀 다른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MAC 주소의 개념 , IP 주소와의 차이점 , MAC 주소가 네트워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MAC 주소란?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는 네트워크 장비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 입니다. 모든 스마트폰, 노트북, 공유기, 프린터 등의 네트워크 장비에는 MAC 주소가 하나씩 존재 합니다. 📌 형식 예시: 00:1A:2B:3C:4D:5E (총 12자리, 16진수) 앞 6자리: 제조사 정보 뒤 6자리: 장비 고유 번호 MAC 주소는 보통 하드웨어에 내장된 고정값 이지만, 일부 장치에서는 수동 변경(스푸핑) 도 가능합니다. ✅ IP 주소와의 차이점 구분 MAC 주소 IP 주소 역할 장비 식별 위치 식별 변경 가능 여부 기본적으로 고정 동적으로 자주 변경 사용 범위 로컬 네트워크 내 전 세계 인터넷 예시 00:0A:95:9D:68:16 192.168.0.1 ✅ MAC 주소는 어디에 사용될까? 1. 네트워크 연결 식별 공유기나 스위치가 장치를 구분 할 때 사용 특정 기기에만 인터넷 접근 허용 가능 (MAC 주소 기반 필터링) 2. 보안 설정 및 인증 학교, 기업에서는 등록된 MAC 주소만 네트워크 접속 허용 무선 보안 강화에 활용 3. 사용량 추적 및 모니터링 네트워크 관리자가 기기별 트래픽 확인 가능 ...

스마트폰 테더링이란? 데이터 나눠쓰기 기초 가이드

Wi-Fi가 없는 곳에서도 노트북이나 태블릿으로 인터넷을 사용해야 할 때, 스마트폰 테더링(Tethering) 기능이 매우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더링의 개념 , 사용 방법 , 데이터 소모량 주의사항 , 그리고 보안 팁 까지 스마트폰 테더링의 기본부터 안전한 활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테더링이란? 테더링(Tethering) 이란 스마트폰의 모바일 데이터를 다른 기기(노트북, 태블릿, PC 등)에 공유 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 테더링 방식 3가지 Wi-Fi 테더링 – 스마트폰을 Wi-Fi 핫스팟처럼 사용 USB 테더링 – USB 케이블을 이용해 유선 연결 블루투스 테더링 – 블루투스를 통한 저속 무선 연결 ✅ 테더링 사용 방법 (안드로이드 기준) ▶ Wi-Fi 테더링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핫스팟 및 테더링 휴대용 Wi-Fi 핫스팟 켜기 SSID(네트워크 이름) 및 비밀번호 설정 후 연결 ▶ USB 테더링 스마트폰과 PC를 USB 케이블로 연결 설정 → 테더링 → USB 테더링 켜기 ▶ 블루투스 테더링 기기 간 블루투스 페어링 설정 설정 → 테더링 → 블루투스 테더링 켜기 ✅ 테더링 장단점 장점 단점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사용 가능 모바일 데이터 빠르게 소모됨 별도 장비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가능 배터리 소모 빠름 Wi-Fi, USB, 블루투스 등 다양한 연결 방식 속도는 이동통신 상태에 따라 다름 ✅ 데이터 소모량은 얼마나 될까? 테더링 시 스마트폰의 모바일 요금제 데이터 가 사용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예시 데이터 사용량: 웹 서핑 1시간: 약 50~100MB 유...

HTTPS와 HTTP의 차이: 자물쇠 아이콘의 의미

웹사이트 주소창을 보면 어떤 사이트는 자물쇠 아이콘 🔒 이 보이고, 어떤 곳은 "안전하지 않음" 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기도 합니다. 이 차이는 바로 HTTP와 HTTPS 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HTTP와 HTTPS의 개념 차이 , 보안성과 신뢰성 , 그리고 왜 HTTPS가 기본이 되어야 하는지 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HTTP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기본 통신 규칙입니다. 예전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HTTP를 사용했으며, 이 방식은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 로 전송됩니다. 📌 특징 기본 통신 프로토콜 빠르지만, 보안 취약 데이터가 노출될 가능성 있음 ✅ HTTPS란?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는 HTTP에 보안 계층(SSL/TLS) 을 추가한 버전입니다. 모든 데이터가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 되므로, 중간에서 가로채기 어렵습니다. 📌 특징 SSL 인증서를 통해 보안 연결 제공 로그인, 결제 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 보호 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 표시 🔒 ✅ HTTP vs HTTPS 비교 항목 HTTP HTTPS 보안 암호화 없음 SSL/TLS로 암호화 주소창 표시 “안전하지 않음” 경고 자물쇠 아이콘 🔒 표시 데이터 보호 취약 (중간자 공격 가능) 보호됨 (암호화로 안전) 신뢰성 낮음 높음 SEO 영향 불리함 Google 검색엔진에 유리 ...

핑(Ping)과 지연 시간(Latency)이란? 온라인 게임에서 중요한 이유

온라인 게임을 하거나 화상 통화를 할 때, "핑이 높다" , "렉 걸린다" 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이럴 때 주로 문제가 되는 요소가 바로 핑(Ping) 과 지연 시간(Latency)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핑의 개념 , 지연 시간이 왜 중요한지 , 어떻게 측정하고 줄일 수 있는지 까지 실생활 예시와 함께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 핑(Ping)이란? 핑(Ping) 은 내 컴퓨터에서 특정 서버로 데이터 패킷을 보냈을 때, 다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ms) 을 말합니다. 즉, 서버와의 통신 반응 속도 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단위: 밀리초(ms) = 1/1000초 Ping 20ms = 데이터 왕복에 0.02초 소요 Ping 150ms = 0.15초 지연 발생 ✅ 지연 시간(Latency)과의 관계 핑은 지연 시간(Latency) 의 대표적인 측정 방식입니다. 즉, 핑이 높다는 것은 지연 시간도 크다 는 것을 의미합니다. Latency는 네트워크에서 요청 → 응답 간 시간 차이 를 말하며, 특히 실시간성이 중요한 환경(게임, 화상회의, 스트리밍 등) 에서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 핑 수치별 체감 예시 핑 수치 상태 체감 0~30ms 매우 빠름 게임, 영상 통화 모두 쾌적 31~70ms 보통 일반적인 사용에는 무리 없음 71~150ms 지연 있음 게임에서 반응 속도 저하 151ms 이상 느림 게임 렉, 음성 딜레이 발생 ✅ 핑이 중요한 이유 온라인 게임 : 캐릭터 반응 지연, 총알이 늦게 나감 화상 회의 : 말이 끊기거나 딜레이 발생 ...

프라이빗 브라우징(시크릿 모드)은 정말 안전할까?

크롬, 사파리, 엣지 같은 브라우저에는 시크릿 모드(또는 프라이빗 브라우징)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기능을 사용하면 기록이 전혀 남지 않고, 완전히 익명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과연 그것이 사실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시크릿 모드의 진짜 기능 과 오해 , 실제 보안 수준 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시크릿 모드(프라이빗 브라우징)란? 시크릿 모드는 브라우저가 웹 활동 기록을 저장하지 않는 기능 입니다. 일반 모드와 달리, 사용자가 접속한 웹사이트나 검색 기록 등이 기기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 시크릿 모드에서 저장되지 않는 정보: 방문한 웹사이트 주소(URL) 검색 기록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자동 로그인 정보 📌 시크릿 모드에서 여전히 노출되는 정보: 인터넷 제공업체(ISP)가 확인할 수 있는 접속 기록 회사 또는 학교 관리자(내부 네트워크 모니터링) 웹사이트 측 로그 기록 (IP 포함) 로그인한 계정 활동(Google 계정 등) ✅ 시크릿 모드의 오해 ❌ “시크릿 모드면 익명이다” 시크릿 모드는 기기 로컬에 기록을 남기지 않을 뿐 , 온라인 활동 자체가 익명화되는 것은 아닙니다. ❌ “해커도 내 활동을 볼 수 없다” 시크릿 모드는 브라우저의 기록 저장을 차단할 뿐, 인터넷 트래픽은 여전히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 일 수 있습니다. 보안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VPN 사용이 필요합니다. ❌ “모든 쿠키 차단된다” 세션 쿠키는 시크릿 모드에서도 브라우징 중에는 저장 되며, 브라우저를 종료하면 삭제됩니다. ✅ 시크릿 모드의 실제 장점 공용 PC에서 로그인 정보, 기록 등 자동 저장 방지 테스트용 브라우징 (광고, 쿠키 없는 상태 확인 등) 여러 계정 동시 로그인 시 브라우저 간 분리 ✅ 브라우저별 시크릿 모드 실행 방법 ▶ 크롬(Chrome) Ctrl + Shift + N ...

쿠키(Cookie)란? 웹사이트가 당신을 기억하는 방식

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이 웹사이트는 쿠키를 사용합니다"라는 알림을 자주 보게 됩니다. 하지만 쿠키가 정확히 무엇이고, 왜 사용되는지 알고 계신가요? 이번 글에서는 쿠키(Cookie)의 개념 , 작동 원리 , 개인정보와의 관계 , 그리고 관리 및 삭제 방법 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쿠키(Cookie)란? 쿠키(Cookie) 는 웹사이트가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작은 텍스트 파일 입니다. 사용자의 접속 정보나 설정을 기억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음 방문 시 더 빠르고 편리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 쿠키 예시 정보: 로그인 상태 유지 정보 언어 설정, 지역 선택 장바구니 내용 방문 시간, 클릭한 메뉴 ✅ 쿠키는 어떻게 작동할까?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 서버가 쿠키 데이터를 브라우저에 저장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를 다시 방문할 때, 브라우저가 쿠키를 서버에 전달 웹사이트는 저장된 쿠키를 바탕으로 맞춤형 페이지 제공 즉, 쿠키는 웹사이트가 “당신이 이전에 이곳에 왔던 사람이라는 것을 기억하는 기술” 입니다. ✅ 쿠키의 종류 1. 세션 쿠키(Session Cookie) 브라우저를 닫으면 자동으로 삭제됨 일시적인 로그인 상태 유지 등에 사용 2. 영구 쿠키(Persistent Cookie) 브라우저 종료 후에도 일정 기간 저장 자동 로그인, 사용자 설정 저장에 활용 3. 제3자 쿠키(Third-party Cookie) 방문한 웹사이트가 아닌 외부 광고 서버 에서 생성 사용자 행동 추적, 맞춤형 광고 제공에 사용됨 ✅ 쿠키는 개인정보를 저장하나요? 일반적으로 쿠키 자체에는 개인정보(이름, 전화번호 등)를 직접 저장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러 쿠키 데이터를 조합하면 사용자의 행동 패턴, 관심사 등을 유추할 수 있어 개인정보 보호와 밀접한 관련 이 있습니다. 따라서 유럽(EU)의 GDPR, 한국의...

브라우저 캐시란? 삭제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페이지가 빠르게 열리는 이유 중 하나는 브라우저 캐시(Cache) 덕분입니다. 하지만 이 캐시가 쌓이면 오히려 속도 저하, 오류 발생, 보안 문제 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브라우저 캐시의 개념 과 삭제해야 하는 이유 , 그리고 PC 및 스마트폰에서 캐시 삭제하는 방법 까지 정리해드립니다. ✅ 브라우저 캐시(Cache)란? 브라우저 캐시 는 사용자가 방문한 웹사이트의 이미지, HTML, 자바스크립트 등 일부 데이터를 로컬(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임시 저장 해두는 기능입니다. 이렇게 저장된 캐시는 다음 접속 시 같은 파일을 다시 다운로드하지 않고 로컬에서 불러와 페이지 로딩 속도를 빠르게 해줍니다. 📌 예시: 로고 이미지, 배경 이미지 웹사이트의 글꼴, 레이아웃 파일 자주 방문하는 뉴스 사이트의 일부 코드 ✅ 캐시를 삭제해야 하는 이유 1. 웹사이트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때 웹사이트가 업데이트되었는데도 이전 모습 그대로 보이는 경우, 오래된 캐시가 남아 있어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로그인 오류, 기능 비정상 동작 캐시 데이터에 오류가 쌓이면 로그인 유지 실패, 버튼 미작동 등 이상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보안상 민감 정보 유출 우려 공용 PC 또는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기기에서 접속한 경우, 로그인 정보나 페이지 기록이 캐시에 남아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저장 공간 낭비 캐시가 누적되면 수백 MB에서 수 GB까지 저장 공간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 캐시 삭제 방법 (PC) ▶ 크롬(Chrome) 우측 상단 점 3개 메뉴 클릭 → 설정 개인정보 및 보안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 캐시된 이미지 및 파일 ’ 체크 후 삭제 ▶ 엣지(Microsoft Edge) 우측 상단 점 3개 → 설정 → 개인정보, 검색 및 서비스 검색 데이터 지우기 클릭 → 캐시 항목 선택 후 삭제...

공공 와이파이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카페, 지하철, 공항, 도서관 등에서는 누구나 쉽게 접속할 수 있는 공공 와이파이 가 제공됩니다. 하지만 무료라는 장점 뒤에는 보안 위험 이 함께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공 와이파이의 위험성 과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이용하는 실전 보안 팁 을 소개해드립니다. ✅ 공공 와이파이의 특징 비밀번호 없이 누구나 접속 가능 통신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은 경우 많음 인터넷 속도는 빠를 수 있지만, 보안 취약 이러한 특성 때문에 도청, 피싱, 악성코드 감염 같은 사이버 위협에 노출되기 쉽습니다. ✅ 공공 와이파이 사용 시 위험 요소 1. 데이터 도청 (스니핑) 해커가 같은 와이파이에 접속해, 다른 사용자의 통신 내용을 몰래 엿볼 수 있습니다. 2. 가짜 와이파이(AP) 피싱 해커가 무료 Wi-Fi 처럼 보이게 만든 가짜 공유기에 접속하면, 로그인 정보나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3. 자동 접속으로 인한 위험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이 저장된 공공 와이파이에 자동 접속되면서 보안 위협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공공 와이파이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1. 중요한 작업은 하지 않기 온라인 뱅킹, 결제, 민감한 개인정보 입력은 피하세요. 공공 와이파이에서는 검색, 뉴스 보기 등 간단한 용도로만 사용하기 2. VPN 사용하기 VPN을 이용하면 인터넷 연결이 암호화되어 도청 방지에 효과적 신뢰할 수 있는 VPN 앱 또는 확장 프로그램 사용 권장 3. 자동 연결 기능 해제 스마트폰에서 '공용 네트워크 자동 연결' 기능을 꺼두기 수동으로 와이파이를 선택하고 접속 여부를 직접 확인 4. HTTPS 웹사이트 이용 주소창에 https:// 로 시작하는 웹사이트만 접속 자물쇠 아이콘이 있는지 확인하여 암호화된 연결인지 체크 5. 공유기 이름 주의 깊게 확인 예: Free_WiFi , Cafe_WiFi 처럼 의심스러운 이름 주의...

2.4GHz vs 5GHz Wi-Fi, 어떤 게 더 빠를까?

Wi-Fi 공유기나 스마트폰 설정에서 2.4GHz 와 5GHz 라는 이름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 두 가지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며, 속도와 거리, 간섭 정도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4GHz와 5GHz의 차이 , 각 대역의 장단점 , 그리고 언제 어떤 주파수를 선택하면 좋은지 에 대해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2.4GHz와 5GHz란? 2.4GHz: 더 넓은 범위를 커버하지만 속도는 느림 5GHz: 빠른 속도를 제공하지만 도달 거리는 짧음 둘 다 Wi-Fi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대부분의 공유기와 스마트 기기는 이 두 주파수를 모두 지원합니다. 이를 듀얼 밴드 라고 합니다. ✅ 비교: 2.4GHz vs 5GHz 항목 2.4GHz 5GHz 속도 낮음 (최대 600Mbps) 높음 (최대 1300Mbps 이상) 도달 거리 넓음 짧음 장애물 통과 강함 (벽, 천장에 영향 적음) 약함 (벽에 신호 약화됨) 간섭 가능성 높음 (블루투스, 전자레인지 등과 겹침) 낮음 (상대적으로 간섭 적음) 적합한 환경 넓은 공간, 장애물 많은 곳 속도가 중요한 근거리 환경 ✅ 어떤 주파수를 선택해야 할까? 2.4GHz를 선택하면 좋은 경우: 공유기와 거리가 멀거나 벽이 많은 구조 IoT 기기, CCTV, 무선 프린터 등은 주로 2.4GHz 지원 Wi-Fi 범위를 넓게 사용하고 싶을 때 5GHz를 선택하면 좋은 경우: 고화질 영상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등 고속 네트워크 필요 공유기와 가까운 위치에서 사용할 때...

Wi-Fi가 느린 이유와 속도 높이는 실전 팁

집이나 사무실에서 Wi-Fi를 사용하다 보면 인터넷이 느리거나 끊기는 현상 을 한 번쯤 경험해보셨을 것입니다. Wi-Fi 속도 저하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사용자가 직접 해결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Wi-Fi 속도가 느려지는 주요 원인 과 실제로 효과 있는 해결 방법 을 소개합니다. ✅ Wi-Fi가 느려지는 주요 원인 1. 공유기와 거리 또는 장애물 공유기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신호 약화 벽, 천장, 가전제품 등이 신호를 차단하거나 간섭 2. 너무 많은 기기 연결 스마트폰, 태블릿, TV, IoT 기기 등 다수 연결 시 대역폭 분산 특히 업로드/다운로드가 많은 기기들이 속도에 큰 영향 3. 주파수 간섭 2.4GHz Wi-Fi는 블루투스, 전자레인지 등과 간섭 발생 이웃집 공유기와 채널 중복으로 속도 저하 가능 4. 오래된 공유기 또는 펌웨어 미업데이트 구형 공유기는 최신 속도를 지원하지 않음 펌웨어가 오래됐을 경우 보안/성능 저하 5. 인터넷 회선 자체의 문제 ISP(인터넷 제공업체)의 장애나 품질 저하 속도 제한 요금제 사용 중일 수도 있음 ✅ Wi-Fi 속도 높이는 실전 팁 1. 공유기 위치 재배치 가정의 중심 또는 거실에 설치 바닥보다는 높은 위치에 두는 것이 좋음 벽이나 금속 구조물 근처는 피하기 2. 5GHz Wi-Fi 사용하기 가능한 경우 2.4GHz보다 빠르고 간섭 적은 5GHz 사용 5GHz는 속도는 빠르지만 도달 범위는 짧음 3. 공유기 재부팅 및 펌웨어 업데이트 일정 주기마다 공유기 전원을 껐다 켜기 공유기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펌웨어 확인 및 설치 4. 불필요한 기기 연결 차단 공유기에 연결된 장치 목록 확인 사용하지 않는 기기는 연결 해제 5. Wi-Fi 채널 변경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2.4GHz 채널 수동 변...

인터넷 속도 단위 Mbps와 MBps 차이 쉽게 설명

인터넷 속도를 이야기할 때 흔히 100Mbps 또는 10MBps 라는 단위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둘 다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다른 단위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Mbps와 MBps의 차이 , 단위 변환 방법 , 그리고 인터넷 속도 측정 시 주의할 점 을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해드립니다. ✅ Mbps란? Mbps(Megabits per second) 는 1초당 전송되는 데이터의 비트(bit) 수 를 의미합니다. 1Mbps = 1초에 1,000,000비트 전송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는 보통 Mbps 단위를 사용 예: 100Mbps 인터넷 = 1초에 1억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 속도 ✅ MBps란? MBps(Megabytes per second) 는 1초에 전송되는 메가바이트(Byte) 수 를 의미합니다. 1MBps = 1초에 1,000,000바이트 전송 파일 다운로드나 전송 속도는 MBps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음 Byte는 bit보다 8배 크기이므로, 1MB = 8Mb 입니다. ✅ Mbps와 MBps의 차이 요약 구분 Mbps MBps 풀네임 Megabits per second Megabytes per second 단위 bit(비트) Byte(바이트) 용도 인터넷 속도 측정 파일 전송, 다운로드 속도 측정 변환 공식 8Mbps = 1MBps 1MBps = 8Mbps ✅ 인터넷 속도 예시 변환 아래는 대표적인 인터넷 속도 단위를 다운로드 속도로 변환한 예시입니다. 인터넷 속도 (Mbps) 다운로드 속도 (MBps) ...

MAC 주소란? IP와 다른 컴퓨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설정을 하다 보면 IP 주소 와 함께 자주 등장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MAC 주소(MAC Address) 입니다. IP 주소는 들어본 적 있어도, MAC 주소는 생소하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두 가지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각기 다른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MAC 주소의 개념, IP 주소와의 차이, 확인 방법 까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 MAC 주소란? MAC 주소 는 네트워크 장치(Network Interface Card, NIC)에 부여된 고유 식별 번호 입니다. 'Media Access Control Address'의 줄임말로, 전 세계에서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주소 입니다. MAC 주소는 보통 00-1A-2B-3C-4D-5E 와 같은 16진수 형식으로 표기됩니다. 📌 주요 특징 하드웨어(물리적 장치)에 부여된 고유 식별값 제조 시 자동으로 설정되어 변경 불가 (일반적으로) LAN 카드, 무선 네트워크 카드 등 모든 네트워크 장비에 존재 ✅ MAC 주소와 IP 주소의 차이 구분 MAC 주소 IP 주소 역할 기기의 고유 식별자 (물리 주소) 네트워크 상의 위치 식별 (논리 주소) 부여 방식 제조 시 장치에 내장 네트워크 접속 시 동적으로 할당 (또는 수동 설정) 변경 가능 여부 거의 불가능 (특수 도구 사용 시 가능) 변경 가능 (공유기/기기 설정) 사용 목적 로컬 네트워크에서 기기 식별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 경로 지정 쉽게 말해, MAC 주소는 주민등록번호, IP 주소는 현재 주소 처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DNS란? 웹사이트 접속 속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기술

인터넷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우리는 흔히 www.example.com 과 같은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하지만 이 도메인을 실제 웹사이트 서버로 연결해주는 중요한 시스템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 핵심 기술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 입니다. 이 글에서는 DNS의 기본 개념부터 작동 방식, 접속 속도에 미치는 영향까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DNS란 무엇인가요? DNS(Domain Name System) 는 우리가 입력한 도메인 주소(예: google.com)를 실제 서버의 IP 주소(예: 142.250.206.206) 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인터넷은 IP 주소로 통신하지만, 사람이 기억하기 어려운 숫자 대신 문자 기반 주소 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도메인이고, DNS는 이 둘을 연결하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역할을 합니다. 📌 예시: 사용자 입력: www.naver.com DNS 변환: 223.130.195.200 브라우저는 이 IP 주소로 실제 서버에 접속합니다. ✅ DNS가 작동하는 방식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작동합니다. 브라우저가 DNS 요청 로컬 캐시 확인 (PC나 공유기에 저장된 기록 확인) ISP의 DNS 서버 문의 최상위 도메인 서버 → 네임서버 → 최종 IP 반환 이 과정을 거쳐 도메인 → IP 주소 로 변환되며, 그 결과 웹사이트 서버와 연결됩니다. ✅ DNS가 웹사이트 속도에 영향을 주는 이유 DNS가 빠르게 작동할수록 웹사이트 접속 속도도 빨라집니다. 왜냐하면 DNS 변환 시간이 길면 초기 접속 속도 지연 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 예시 상황 느린 DNS 사용 시: 사이트 클릭 후 2~3초 지연 빠른 DNS 사용 시: 거의 즉시 접속 이는 특히 외국 사이트를 접속하거나, DNS 오류가 발생했을 때 더욱 체감됩니다. ✅ 대표적인 ...

도메인과 IP의 차이: 인터넷 주소 체계의 이해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우리는 보통 www.example.com 같은 도메인 주소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인터넷에서는 이 도메인이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 로 변환되어 접속이 이루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메인과 IP 주소가 무엇인지, 서로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에 대해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IP 주소란? 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에 부여되는 고유한 숫자 주소 입니다. 예시: IPv4: 172.217.161.238 IPv6: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이 주소는 마치 인터넷 상의 집 주소 처럼, 데이터를 어디로 보내야 할지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 도메인이란? 도메인은 사람이 기억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만들어진 웹사이트의 문자 기반 주소 입니다. 예시: www.google.com www.naver.com www.myblog.co.kr 도메인은 실제 IP 주소와 1:1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Domain Name System) 이 해당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해 접속이 이루어집니다. ✅ 도메인과 IP 주소의 차이 구분 도메인 IP 주소 형식 문자 기반 (예: google.com) 숫자 기반 (예: 172.217.161.238) 목적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주소 제공 장치를 식별하고 데이터 전달 기능 DNS를 통해 IP와 연결 도메인 없이도 직접 접속 가능 변경 가능성 변경 쉬움 (도메인 변경 가능) 보통 고정 또는 유동 IP 설...

내 IP 주소 확인하는 3가지 방법 (PC, 모바일, 웹사이트)

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가끔 "내 IP 주소가 뭐지?" 라는 궁금증이 생기곤 합니다.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사용자의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로, 보안 설정이나 원격 접속, 네트워크 문제 해결 등에 자주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내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를 확인하는 3가지 방법 을 PC, 스마트폰, 웹사이트를 기준으로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IP 주소의 두 가지 종류 공인 IP: 인터넷 외부망에 노출되는 주소 (ISP가 부여) 사설 IP: 공유기 내부에서 각 기기에 부여되는 내부 주소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외부에 보여지는 주소는 ‘공인 IP’이며, 각 기기(노트북, 스마트폰 등)에서 사용되는 주소는 ‘사설 IP’입니다. ✅ 방법 1: 웹사이트를 이용한 공인 IP 확인 가장 간편한 방법은 IP 확인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웹브라우저에서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면 현재 내 공인 IP 주소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hatismyipaddress.com https://ip.pe.kr https://www.myip.com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면 IP뿐 아니라 국가, 도시, 브라우저 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 방법 2: Windows에서 사설 IP 주소 확인 Windows 운영체제에서는 명령어(cmd)를 통해 내 컴퓨터의 사설 IP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에서 Win + R 키를 누르고 cmd 입력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ipconfig 입력 후 Enter IPv4 주소 항목에서 내 PC의 사설 IP 확인 가능 예시: IPv4 주소 .......... : 192.168.0.101 이 주소는 공유기 내부에서 할당된 나만의 고유 주소입니다. ✅ 방법 3: 스마트폰에서 IP 주소 확인 ▶ 안드로이드(Android)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Wi-Fi 연...

VPN이란? 안전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 필수 도구

인터넷을 이용할 때 내 정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까 걱정한 적 있으신가요? 특히 공공 와이파이처럼 보안이 취약한 환경에서는 데이터 도청, 해킹 등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VPN(Virtual Private Network)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VPN이 무엇인지, 어떤 기능을 하고, 왜 안전한 인터넷 사용에 필수적인지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VPN이란? VPN(Virtual Private Network) 은 공용 인터넷망을 이용하되,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사용자의 실제 IP 주소를 숨겨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상 사설 네트워크입니다. 쉽게 말해, 인터넷 상에 보안 터널 을 만들어 모든 데이터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주요 기능 실제 IP 주소 숨기기 (익명성 제공) 데이터 암호화로 보안 강화 접속 지역 우회 가능 (해외 콘텐츠 접속 등) ✅ VPN을 사용하면 무엇이 좋을까? VPN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공공 와이파이 사용 시 보안 강화 카페, 지하철 와이파이처럼 누구나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는 해커의 표적이 되기 쉽습니다. VPN을 사용하면 모든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개인정보 보호에 효과적입니다. 실제 위치 숨기기 VPN 서버를 다른 국가로 설정하면, 해외 웹사이트에 한국이 아닌 다른 국가에서 접속한 것처럼 보입니다. 이는 IP 우회 또는 위치 차단 회피 에 활용됩니다. 회사 내부망 원격 접속 기업에서는 외부에서 회사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해 VPN을 사용합니다. ✅ 무료 VPN vs 유료 VPN 차이 구분 무료 VPN 유료 VPN 속도 느림 (서버 과부하) 빠름 (프리미엄 서버 지원) 보안 낮음 (데이터...

IP 충돌이란? 인터넷이 끊기는 진짜 이유와 해결 방법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갑자기 연결이 끊기거나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본 적 있으신가요? 이럴 때 자주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가 바로 IP 충돌(IP Conflict)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IP 충돌의 개념 , 왜 발생하는지 , 직접 해결하는 방법 까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드립니다. ✅ IP 충돌이란? IP 충돌은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서 동일한 IP 주소가 두 개 이상의 장치에 동시에 할당 되었을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IP 주소는 각 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 주소이므로, 중복되면 네트워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노트북과 스마트폰이 동시에 192.168.0.5 라는 IP를 갖고 있다면, 서로의 통신이 충돌 인터넷 접속 불안정 또는 끊김 발생 ✅ IP 충돌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수동(IP 고정) 설정 충돌 사용자가 IP를 수동으로 설정했는데, 공유기에서 동일한 IP를 다른 기기에 자동 할당한 경우. 공유기의 DHCP 설정 문제 DHCP 서버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IP 풀 설정이 너무 좁을 경우 중복 할당이 발생할 수 있음. 네트워크 장비 재부팅 오류 공유기 또는 기기 재시작 시 IP 갱신이 되지 않아 이전 IP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무선 확장기나 스위치 장비 사용 중 충돌 동일한 네트워크 대역에 여러 장비가 IP를 관리하는 구조일 경우 발생 가능. ✅ IP 충돌 시 나타나는 증상 “IP 주소 충돌이 감지되었습니다” 메시지 출력 인터넷 연결은 되어 있으나 웹사이트 접속 불가 특정 기기만 인터넷이 안 되는 현상 네트워크 프린터 또는 NAS 접속 오류 ✅ IP 충돌 해결 방법 1. 문제 기기 재시작 대부분의 경우, 문제 기기를 재부팅하면 IP가 자동으로 재할당되어 해결됩니다. 2. 공유기 재부팅 DHCP 서버 오류가 원인일 경우, 공유기를 껐다 켜면...

IP 주소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인터넷 주소의 모든 것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인터넷에는 수많은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각 기기를 구분할 수 있는 고유한 주소가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IP 주소란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어떤 종류가 있는지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좋은 IP 정보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IP 주소란?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숫자 주소입니다. 쉽게 말해, 인터넷 세상의 집 주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에게 소포를 보내려면 정확한 주소가 필요하듯, 인터넷에서도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각 장치의 IP 주소가 필수입니다. 📌 예시: 192.168.0.1, 172.217.161.238 등 ✅ IP 주소는 왜 필요한가요? 인터넷에서 우리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실제로는 해당 사이트의 서버 IP 주소로 접속하게 됩니다. 도메인(예: www.google.com)은 단순히 기억하기 쉬운 이름일 뿐이고, 이 도메인이 DNS 시스템을 통해 IP 주소로 변환되어 실제 연결이 이루어집니다. 즉, IP 주소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데이터를 목적지로 정확히 전달 네트워크 상의 기기 식별 보안 및 접근 제어에 활용 ✅ IP 주소의 종류 IP 주소는 크게 IPv4와 IPv6, 그리고 공인 IP와 사설 IP로 나눌 수 있습니다. ▶ IPv4 vs IPv6 구분 설명 IPv4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식 (예: 192.168.1.1) IPv6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형 형식 (예: 2001:0db8:85a3::8a2e:0370:7334) ▶ 공인 IP vs 사설 IP 종류 설명 사용 예시 공인 IP 전 세계에서 고유한 IP 주소 웹서버, 공유기 외부 주소 사설 IP 내부 네트워크 전용 주소 집 안에서 기기 간 통신 시 사용 (192.168.X...

공인 IP와 사설 IP 차이점 완벽 정리

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공인 IP’, ‘사설 IP’라는 용어를 한 번쯤 들어봤을 것입니다. 이 둘은 모두 IP 주소의 종류이지만, 용도와 범위, 접근 가능성 면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공인 IP와 사설 IP의 개념과 차이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공인 IP란? 공인 IP 는 전 세계 인터넷상에서 고유하게 인식되는 IP 주소 입니다. 인터넷 제공업체(ISP)로부터 할당되며, 외부 인터넷망과 직접 통신할 수 있는 주소입니다. 📌 주요 특징: 유일한 주소로 외부에서 직접 접근 가능 웹 서버, CCTV 원격 접속 등 실시간 통신에 적합 외부 공격에 노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보안 필요 예시: 123.45.67.89 1.209.213.101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공유기 역시 외부에서는 하나의 공인 IP 를 가지고 있습니다. ✅ 사설 IP란? 사설 IP 는 특정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IP 주소로, 외부 인터넷망과 직접 통신하지 않습니다. 대신 공유기나 라우터가 공인 IP를 통해 외부와 연결을 대신 수행합니다. 📌 주요 특징: 동일한 사설 IP 대역을 여러 네트워크에서 중복 사용 가능 가정, 사무실 등에서 각 장치에 자동 할당됨 외부 접속 불가 → 상대적으로 안전 대표 사설 IP 대역: 192.168.0.0 ~ 192.168.255.255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 공인 IP vs 사설 IP 비교 표 구분 공인 IP 사설 IP 사용 위치 인터넷 외부망 내부 네트워크(가정, 사무실 등) 접근 범위 누구나 접근 가능 외부에서 직접 접근 불가 ...